티스토리 뷰

반응형

심리학의 정의

 심리학(心理學) 인간의 행동과 심리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과목으로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학문이다. 일반적으로인간의 행동과 정신, 영혼에 대한 학문이라고 정의되기도 하는데 학문은 다양한 접근방법이 있는 만큼 정의의 폭도 달리할 있겠으나 과학적인 절차와 실험을 수용하기 시작한 근대에 와서는 적어도 '행동에 대한 과학'이라는 협의에 따른 정의는 빼놓을 수가 없다. 심리학은 인문과학에서 자연과학, 공학, 넓게는 예술 분야에 이르기까지 많은 분야에 공헌하고 있는 것임은 분명하다.

 영혼과 감정이 있는 인간이라는 존재와 관계된 모든 분야에는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인간의 행동과 사고에 관한 연구인 심리학의 학문적, 이론적 뒷받침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특히 현대에 들어서 고도의 정보화 사회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인간의 삶과 그의 (quality) 관련된 문제점들이 점점 중요성을 더하고 있고 이러한 문제 안에는 감각, 지각, 사고, 성격, 지능, 적성 등의 여러 인간의 특징들이 고려되어야 하므로 인간의 행동과 행동의 기저 원리를 밝히는 심리학은 미래 사회에서 점점 중요성을 더해갈 학문이다.

 

 심리학은 연구 분야에 따라서 인간의 심리와 그에 관련된 이론이나 원리를 탐구하는순수심리학’, 순수 심리학의 이론이나 원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문제 해결을 시도하는 영역인응용심리학으로 나누어진다. ‘순수심리학 과학형 모델로 대표되며 심리학의 학문으로서 확립을 목표로 하며 기초적 지식과 심리적 기제를실험 통해서 연구한다. 사회심리학, 발달심리학, 인지심리학, 학습심리학 생리심리학 등이 이에 포함되며 귀납적 사고를 주로 적용하는 자연과학 학문과 달리 연역적 사고도 이용한다. 이러한 모델에는 심리통계, 심리측정 검사 수학, 과학적 접근이 포함된다. 전문가 모델로 대표되는응용 심리학 실재 현장에서의 적용을 목표로 하여 적용 방법과 원리를 연구한다. 심리학의 이론과 그에서 도출된 방법과 결과를 실생활과 거기서 발생하는 문제에 응용하는 학문이다. ‘교육심리학, 임상심리학, 조직심리학, 상담심리학, 산업심리학, 범죄심리학 등이 이에 속한다. 그리고 심리학의 인접한 영역으로는 정신의학, 교육학, 사회복지학, 가족학, 간호학, 신학 등으로 확장된다.

 

심리학의 역사

기원전부터 '심리학'이라는 용어와 개념을 사용하지 않았을 , 심리학에 대한 인간의 생각은 계속 존재해 왔다고 있다. 하지만 현대 심리학의 이론이 정립되기 이전의 심리학은 경계가 모호하였으며 주로 철학자들이 다루는 영역으로 간주하여 왔다. 일찍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인식론을 다루었고 문제에 대한 논쟁은 르네상스 이후 데카르트와 스피노자 등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특히 데카르트는 유명한 마음과 신체 (-) 문제에 있어서 이원론을 주장함으로써 마음과 몸은 떨어져 있는 별개의 실체임을 주장하여 마음에 대한 경험과학적 탐구를 중시하는 현대 심리학의 입장과는 다른 입장을 갖고 있었다고 있다.

 파티마 칼리파국(혹은 파티마 왕조: 아랍제국의 시아파 이슬람 왕조) 과학자 이븐 알하이탐은 1010년에 출간한 자신의 저서 [광학]에서 실험을 통해 심리학적인 개념으로서의 시각을 설명하고 있다.

 독일의 스콜라학파의 철학자인루돌프 괴켈 (라틴어 이름: 루돌프 고클레니우스)’ 1590년에 출간한 자신의 저서에 처음으로조건 사용한 심리 실험을 다루고 있으며 이보다 60 크로아티아의 휴머니스트마르코 마루릭 조건을 사용한 그의 작업 목록을 남겼으나 내용은 소실되어 확인할 없다.

 독일의 형이상학 철학자볼프 그의 저서 《심리 실험과 심리 추론(Psycho logia empiric and Psycho logia rationals, 1732~1734)》에서 다룬조건 사용한 실험은 일반적인 심리 실험의 방법의 하나로 자리를 잡았다. ‘디드로 이러한 심리를 다룬 실험과 심리 추론 사이의 차이점에 대해 그의 《백과사전》에 기술하였고비랑 의해 프랑스에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영국의 의사 토마스 윌리스( Thomas Willis, 1621~1675) 정신의학의 치료 목적으로 기능을 연구하면서 "정신의 법칙" 다루는 학문으로서의 심리학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다. 이러한 과정 이후 19세기에 이르러 심리학은 철학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과학이라는 학문의 분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